2025/04 2

독고철 우즈베키스탄 & 코카서스 3국 2부

우즈베키스탄 & 코카서스 3국 2부조지아., 아르메니아(2025.4.11 - 4.23) 1. 조지아 (그루지아) 가. 역사 조지아의 북쪽으로 국경의 약 40퍼센트 정도가 러시아와 국경을 맞대고 남쪽으로는 아르메니아, 동쪽으로는 아제르바이젠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코카서스 3국은 아제르바이젠 역사에서 서술했듯 제국들의 흥망성쇠에 따라 침략과 지배를 연속으로 당했던 나라들로 그 운명과 과거가 거의 동일 하기에 기서술한 아제르바이젠 역사를 참고하면 될 것 같다. 1991년 쏘련으로부터 독립했다. 나. 국가인구 약 372만명 (2024년)면적 대한민국 약70% GNP 9571$ (2023년) GDP 307억$ 수도 트빌리시 (118만명)종교 조지아 정교(82%)언어 조지아어 다.. 여행느낌조지아로 들어서면서부터..

독고철 우즈베키스탄 & 코카서스 3국 1부

독고철 코카서스 여행기 1부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젠. (2025.4.11.-4.23) 코카서스지역은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에 위치한 지역으로 동양의 서쪽 끝이고. 서양의 동쪽 끝이기도 하다. 따라서 동서양의 진출입로였기에 대제국이었던 페르시아, 알렉산더, 아랍, 몽골, 티무르, 오스만 터키, 쏘련 등 제국 탄생에 따라 끊임없는 침략과 지배를 받은 지역이다. 우리나라보다 면적이 적은 국가들로써 외세의 침략과 지배 속에 살아왔지만 각자 고유 문자가 있음이 인상적이었다. 아제르바이젠은 페르시아 사람들과 조지아는 슬라브족 백인모습에 가까웠고, 아르메니아는 터키계와 아랍계 사람들의 모습과 비슷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한 가지 주목한 일은 GNP가 낮은 농업국가이지만 아제르바이젠 수도 바쿠, 조지아 수도 트랄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