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고철 13차 강원 천년사찰
독고철 13차 강원 천년사찰
(104 사찰 – 113 사찰)
13차 사찰순례는 춘천 청평사, 홍천 수타사, 원주 구룡사, 영월 법흥사, 평창 상원사, 평창 월정사, 양양 낙산사, 설악 신흥사, 고성 건봉사 순으로 진행하였다.
계획은 인제 봉정암 (해발1224m)까지 순례하여 우리나라 천년사찰 순례를 마치려 했으나 등산 채비를 해야 하는 봉정암은 다음 기회로 미루었다. 강원지역 천년사찰을 돌아보며 새롭게 느낀 점은 자연적, 또는 전쟁 등 인위적으로 발생한 영동지방의 산불이 아주 옛 날부터 자주 있었다는 점이다.
게다가 625전쟁을 비롯해 국난이 있을 때마다 이곳 강원의 사찰들은 잿더미로 변하고 약탈되었던 탓에 대부분 오래 보존된 건축물이나 보물, 국보 등 문화재가 거의 없었다. 이점은 수도권 사찰도 마찬가지였다.
--------------------
104. 청평사 –춘천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로 고려 광종24 973년 영현선사가 창건하였다. 보물 제165호 회전문이 있다.
소양강댐에서 유람선를 타고 갈 수 있고 차량으로도 갈 수 있다. 주차장에서 청평사까지 편도 20여분 정도 걸어야 한다.일주문이 없다.
청평사 오르는 길목의 구송폭포
중 규모의 사찰이다
대웅전
대웅전 불상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5. 수타사 -홍천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의 말사로 신라 성덕왕 708년 창건되었다.
비구니 사찰
공작포란형의 명당터라고 하는데 계곡 평지에 개울을 끼고 공작산 산자락 끝이 휘돌아 감싼 한 눈에도 매우 포근한 느낌의 터에 사찰이었다. 보물 제745호 월인석보(책)가 있으며 일주문이 없다, 대부분 4000원인 입장료가 없다.
단아하고 따듯한 분위기였다
대광보전 불상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6 구룡사 ㆍ원주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668년 의상대사 창건하였고 도선, 무학, 휴정대사가 수도했다. 영서지방의 큰 사찰에 속한다.
치악산 구룡사 일주문
구룡사 전경으로 규모가 큰 사찰이었다
대웅전
대웅전 불상
대웅전 옆모습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7 법흥사 ㆍ영월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 말사로써 신라선덕여왕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중의 한 곳이다. 적멸보궁의 기록을 살펴보면 신라 때 자장율사가 당나라 청량산에서 문수보살을 친견하고 석가모니불의 진신사리와 가사를 전수받아 643년에 귀국하였다고 한다.
자장율사는 오대산 상원사, 태백산 정암사, 영축산 통도사, 설악산 봉정암 마지막으로 사자산에 법흥사를 창건하여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보물제612호 영월흥령사징효대사탑비가 있다. 입장료 없음
진신사리가 있는 암자는 주차장에서 높이 30-40m의 보기 드문 미끈한 소나무 숲길을 따라 약 20분 올라야 한다. 산 하부 주차장 근처는 새로 건설되어가는 큰 규모의 사찰이 있다. 이는 태백 정암사에서도 같았다.
법흥사로 가는 길은 영월 동강의 일원인 법흥계곡을 따라 약1시간 이동하게 된다. 이 계곡은 동강중에서도 오염되지 않은 지금까지 보아 온 계곡 중 최고의 환경이 아닌가 싶다. 그런 이유인지 계곡 양쪽은 펜션과 캠핑장으로 빈틈이 없어 보였다.
사자산 법흥사 일주문
법흥사 주변은 30m가 넘는 미인송 군락지였다.
대형 주차장과 맞다아 새로 건설되고 있는 사찰들이 보이고 이곳에서 콘크리트로 포장된 산길을 20여분 오르면 진신사리가 봉안된 암자에 이른다.
진신사리가 봉안된 암자.
이곳 법당에는 불상이 없다. 5대 적멸보궁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 되어 있으므로 불상이 없다. 창밖으로 사리탑이 보인다.
암자 뒤편 사리탑과 무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8. 상원사 평창
조계종 제4교구 월정사 말사이다. 신라선덕여왕때 자장율사가 창건하였고,1946년 화재로 1947년 새로 건설되었다.
국보 제36호 현존 가장 오래된 동종
국보 제221호 목각문수동자상,
보물 제793호 소형 동자상들
적멸보궁의 부처님 사리는 상원사에서 정상인 비로봉으로 1시간50분 거리의 암자에 있다고 한다. 젊어서 오대산에 오르면서 이렇게 귀한 유물이 있음을 알지 못했다는 자책을 하며 등산준비를 갖춰 꼭 다시 찾으리라 다짐하며 월정사로 향했다. 일주문이 없다.
주차장에서 20여분 오르면 상원사
문수전으로 조선 세조와 동자의 전설이 있다.
법당에는 불상 대신 국보 제221호 목각문수보살과 동자상이 모셔져 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09 월정사ㆍ평창
조계종 제4교구의 본사이다.
신라 선덕여왕 643년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일주문이 없다. 대부분 근대의 건축물이었다.
국보 제48호 8각9층 석탑
보물 제139호 석조보살좌상
보물 제140호 중창권선문 (세조친필)
국보 제48호 8각9층 석탑은 보수중
국보 제48호 8각9층 석탑 사진으로 고려 전기 석탑의 대표작이다
대부분 화재로 소실되어 근대에 건축
4교구 본사인 월정사에는 여타 교구와 달리 대불상이 1분만 모셔져 있다.
동행한 산 달이 가까운 임산부 친구들
동해바다 주문진항에 도착했다. 어시장에서 횟감을 넉넉히 준비했다.
숙소로 잡은 콘도에서는 남대천과 바다가 만나는 환상의 풍광을 보여 주었다.
-------------------------------------
110 낙산사ㆍ양양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의 말사이다. 신라 문무왕 671년 의상대사 창건하였고 우리나라 3대 관음도량중 하나이다. 625때 전소되어 신축되었고 근래에도 산불에 손상되어 재건 되었다.
3대 관음기도도량은 바닷가에 위치하여 바다를 향한 사찰이며 풍광이 뛰어나다. 3대 관음도량은 서해- 보문사(석모도)
동해- 낙산사(양양) 남해-보리암(남해도)이다.
보물 제1723호 해수관음공중사리탑비이 있으며 110곳 천년사찰을 순례하며 처음으로 접한 근대에 건설된 정사각형의 원통보전을 볼 수 있었다.
일주문
보물 제499호 칠층석탑
처음 접한 정사각형의 원통보전으로 보통은 직사각형인데 특이했다.
동해바다를 향한 관음보살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1 신흥사ㆍ설악
조계종 제3교구 본사.
신라 진덕여왕 652년 자장율사가 창건하였다.
설악산 신흥사 일주문
1997년 10월 제작된 높이 14.6m 세계 최대 청동불좌상이 있다.
보물 제1981호 극락보전
보물 제1721호 아미타여래삼존좌상(목각)
보물 제1749호 목조지장보살삼존상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112 건봉사ㆍ고성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 말사이다. 신라 법흥왕 520년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
조선왕실의 원당으로 부처님 치아사리가 보존 되어 있다. 625전소 되어 대부분 신축되었다. 건봉사는 왕실 사찰로 사찰내 전시된 1912년 사진으로 보아 큰 규모의 사찰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입장료 없다.
금강산 건봉사 일주문
사찰로 가는 입구의 계곡에 돌다리로 여타 사찰과 비교하여 모든 석재가 각을 이루도록 다듬어져 있는 왕실사찰의 면모를 볼 수 있다.
대웅전
대웅전 불상
1921년 사진으로 대단한 규모였다. 당시는 돌다리 위에 전각도 보인다
1921년 촬영된 기념사진으로 규모와 스님의 숫자로 보아 금강산 자락의 건봉사는 당대 대표 사찰중에 하나였으리라 짐
작해 본다.
1921년 사진으로 당시 스님과 순사들의 옷차림을 가늠해 볼 수 있다.
이 사찰은 사명대사와 만해 한용운이 주재했던 사찰이었다.
만해 한용운의 “사랑하는 까닭” 시비 앞에서 반복해서 음미하며 시간이 멈춰 버림을 느꼈다.
萬海當 大禪師 詩碑
사랑하는 까닭
내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홍안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백발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그리워하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미소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눈물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내가 당신을 기다리는 것은 까닭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건강만을 사랑하지마는
당신은 나의 죽음도 사랑하는 까닭입니다.
끝.